정보

부자의 그릇 돈의 그릇을 키우는 방법

바 람 탄 2023. 9. 13. 10:15

'부자의 그릇'은 돈의 그릇을 키우는 방법을 설명하는 책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이즈미 마사토가 쓴 '부의 그릇'은 돈과 부의 본질, 인간관계, 그리고 성공적인 돈 다루기에 관한 소설 형식의 경제경영 교양서이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돈을 다루는 능력과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줄 수 있다.

이즈미 마사토는 일본의 경제금융 교육 전문가이자 일본 파이낸셜 아카데미 주식회사 대표이사이다. 그는 고베 슈쿠가와가쿠인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교육, IT, 부동산 사업과 관련해 다섯 개의 회사를 경영하고 있다.

이즈미 마사토는 돈의 본질과 인간관계에 관한 명쾌한 통찰을 한 권에 담은 소설 형태로 담아냈다. 이 책은 돈을 다루는 능력과 태도와 돈에 지배되지 않고 지혜롭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준다.

부자의그릇-책-사진
부자의그릇 책

책은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마다 돈에 관한 여러 가지 주제들을 다룬다. 첫 번째 장에서는 부자의 질문이라는 제목으로, 돈을 벌기 위해 필요한 선택, 경험, 거울, 신용, 리스크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부자의 고백이라는 제목으로, 돈을 성공적으로 다루기 위해 알아야 할 기회, 부채, 소유, 계획, 장사, 가격, 오판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세 번째 장에서는 부자의 유언이라는 제목으로, 돈과 인생에 대한 교훈으로서 파멸, 도산, 그릇, 사람 등에 대해 이야기한다.

책에서 살펴보는 주요 내용들

부의 그릇

'부의 그릇'은 돈을 담을 수 있는 용량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 책에서는 부의 그릇의 크기가 돈을 다루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고 강조하였다. 부의 그릇을 크게 만들어야 돈을 유지하고 늘릴 수 있으며, 이는 자신의 마음가짐과 태도에 의해 결정된다고 한다.

돈과 신용의 원리

돈과 신용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신용을 쌓는 것이 돈을 모으는데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돈을 모으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신용을 얻는 것이 핵심이며, 약속을 지키고 타인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 신용을 쌓는 방법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부자가 되는 단계

이 책에서는 부자가 되는 단계를 "+, x, ÷"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한다. "+ 단계"는 수입이 지출보다 큰 상태로 기초적인 부의 그릇을 쌓는 것을 의미한다. "x 단계"는 돈을 투자하여 소득을 늘리는 것을 강조하며, "÷ 단계"는 돈을 주변 사람들과 나누어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돈과 인간관계

책은 돈과 인간관계 간의 연결을 강조한다. 어떤 사람들과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느냐가 부의 크기와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며, 신뢰와 협력이 부를 쌓는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도전과 실패

돈을 다루는 과정에서 실패와 리스크는 피할 수 없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하고 결단력 있게 행동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마음과 태도에 따라 결정되는 ‘부자의 그릇’
돈은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것이며, 누구도 돈을 영원히 가지고 있을 수 없다. 따라서 돈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을 만들고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돈은 그만한 그릇을 지닌 사람에게 모이며, 그릇의 크기는 자신의 마음가짐과 태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돈의 본질과 원리를 잘 알고 있어야 하며, 돈에 지배되지 않고 지혜롭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돈은 인간관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무엇을 하느냐보다 누구와 하느냐가 중요하다. 따라서 주변 사람들과의 신뢰와 협력을 잘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돈은 기회와 리스크를 수반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결단력 있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운이 언제까지나 나쁜 사람은 없다는 것을 기억하고, 새로운 도전을 해야 한다.

'부자의 그릇'은 돈과 부의 개념을 소설적인 이야기를 통해 설명하고, 독자들에게 돈을 더 지혜롭게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책은 돈에 대한 깊은 통찰과 현실적인 조언을 제공하며, 돈과 인생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이 책을 통해 돈을 다루는 능력과 태도를 개선하고, 부의 그릇을 더 크게 만드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