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계 2

원함, 두려움, 관계

우리가 살아가는 것이 무얼까? 살아간다는 것이 대체 어떤 과정일까? 내가 살아가는 것을 무엇을 하는 걸까? 우리는 저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추구한다. 그리고 그 원함은 어디사 오게 되는지, 과연 유년기의 상처로 부터인지, 사회적 교육 때문인지 곰곰히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나는 지금 무엇을 원하고 있나? 우선 나는 어떤 상태를 원한다. 그 상태는 맘결은 부드러워지고 몸은 편안하며 하늘 위를 둥실 날아가도 좋을 기분이 드는 상태이다. 그런데 이런 상태가 어렸을 때는 더욱 쉬웠는데 나이가 드니 솔직하지 못하는 사람들 사이의 소통으로 인하여 힘들어 진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보면 소통의 어려움의 상태 또한 내가 타인들에게 열려있지 못함이고 또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

관계중심적 사고, 소셜미디어

#1 내 사고를 보면 굉장히 관계 중심적이다. 어쩌면 내 사고가 관계중심적이기 때문에 사회복지에 대해서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련지도 모르겠다. 요새 생각의 지도라는 책을 읽고 있다. 거기에서는 문화가 사람들의 생각하는 방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여러가지 설문이나 실험을 통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동양인들은 서양인에 비해서 순환론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고 관계중심적인 성향이 강하다고 한다. 그것은 동양의 문화가 모든 것은 음이 있으면 양이 있고, 좋은 일이 있으면 나쁜 일도 있다는 식의 순환론적인, 어떻게 보면 수많은 요인들이 어떠한 사건에 영향을 미치므로 결국엔 결과를 알 수 없다는 식의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내가 제대로 이해했나?) 헌데, 지금 지구상에서 필요한 사고방식이 바로..

에세이 2010.03.13
반응형